안녕하세요,
최근 네이버는 자사의 대형 언어 모델인 HyperCLOVA를 공개한 데 이어, 경량화된 추론 특화 모델인 HyperCLOVA X SEED 14B Think를 오픈소스로 제공하였습니다. 이 모델은 상업적 이용까지 허용된 라이선스로 배포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어 환경에 최적화된 성능과 뛰어난 추론 능력을 갖춘 점이 큰 장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HyperCLOVA X SEED 14B Think 모델의 주요 특징과 함께, 로컬 환경에서 직접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HyperCLOVAX-SEED-Think-14B
HyperCLOVAX‑SEED‑Think‑14B는 2025년 7월 22일, 네이버 클라우드가 공개한 HyperCLOVA X THINK 기반의 경량화·추론 특화 한국형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입니다. 총 140억 파라미터 규모로 설계된 이 모델은, 기존 해외 오픈소스 모델을 수정하거나 파인튜닝한 방식이 아닌, 네이버의 독자 기술을 바탕으로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개발된 순수 국산 LLM입니다. 또한 학습 효율성 면에서도 강점을 갖추고 있으며, 전 세계 동급 모델 대비 약 1% 수준의 학습 비용으로 구현되어, 동일 규모 글로벌 모델보다 훨씬 적은 자원과 시간으로 학습을 완료한 고효율 모델입니다.
- 네이버 Clova AI 공식 블로그 : https://www.clova.ai/tech-blog/ai-%EC%83%9D%ED%83%9C%EA%B3%84%EC%97%90-%EC%83%88%EB%A1%9C%EC%9A%B4-%EC%8B%B9%EC%9D%84-%ED%8B%94%EC%9A%B0%EB%8B%A4-hyperclova-x-seed-think
[모델 정보 요약]
항목 | 내용 |
모델명 | HyperCLOVAX-SEED-Think-14B |
파라미터 | 140억 (14B) |
개발사 | NAVER |
출시일 | 2025년 7월 22일 |
학습 방식 | From Scratch + Pruning + Distillation + RLHF |
특징 | 한국어 특화, 에이전트 최적화, 상용 오픈소스 공개 |
라이선스 | 상업적 사용 조건부 가능 (자세한 조건은 아래 "라이선스" 참고) |
주요 특징
1. 경량화 및 비용 효율성 강화
HyperCLOVAX-SEED-Think-14B는 학습에 드는 비용이 매우 적은 모델입니다. 실제로 같은 규모의 글로벌 모델인 Qwen3-14B가 약 626만 GPU 시간이 필요한 반면, 이 모델은 약 6만 8천 GPU 시간만으로 학습을 마쳤습니다. 약 1/91 수준의 자원만 사용한 셈입니다. 덕분에 클라우드나 기업 내부 서버 환경에서도 부담 없이 실행할 수 있습니다.
2. 고성능 추론 및 사고력 강화
이 모델은 단순히 크기만 키운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방식 자체를 개선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됐습니다.
- 중요한 내용을 잘 요약해 작은 모델에 전달하는 지식 증류
- 사람이 생각하는 흐름을 따라가도록 돕는 강화학습 (RLVR, RLHF)
- 출력 길이 조절 기술을 통해 질문에 맞는 길이로 응답 생성
- 잘못된 답을 스스로 고치는 자기 교정 기능
3. AI 에이전트 구현 최적화
HyperCLOVAX-SEED-Think-14B는 AI 에이전트 역할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능력들을 갖고 있습니다.
- 문제를 잘게 나누고, 필요한 도구를 고르고, 결과를 스스로 검토하는 단계별 사고 흐름
-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도구나 기능을 스스로 선택
- 생성된 응답이 잘못됐을 때 스스로 인식하고 고치는 능력
4. 한국어 및 한국 문화 특화
140억 파라미터 규모의 중형 모델임에도, 한국어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뛰어난 모델입니다.
- 한국어 문법과 문맥을 잘 이해하고,
- 한국 역사, 상식, 지역 관련 질문에도 정확히 답할 수 있으며,
- KoBALT, KoBigBench, hae-rae-bench 같은 한국어 평가 기준에서도 글로벌 모델보다 좋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벤치 마크 성능
NAVER에서 개발한 HyperCLOVA-X-SEED-14B-Think 모델은 한국어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언어 모델입니다. 특히, 어려운 문제를 얼마나 잘 푸는지를 평가하는 여러 시험에서 뛰어난 결과를 보였습니다.
- KMMLU라는 시험에서는 66%가 넘는 정답률을 보였습니다. 이 시험은 대학 수준의 지식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를 평가합니다.
- CSAT-ko-2025는 실제 수능 스타일의 문제로 구성된 평가인데, 여기에서는 약 75%의 정확도를 기록했습니다.
- KorMedMCQA는 의학 분야의 문제를 다루는 시험인데, 이 모델은 여기서도 약 69%의 정확도를 보여 전문 분야 질문에도 잘 대응합니다.
- HAERAE라는 시험은 글을 얼마나 잘 읽고 이해하는지를 보는 시험인데, 85% 이상의 높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 KoBigBench는 다양한 분야의 한국어 문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인데, 이 모델은 여기서도 약 80%의 정확도를 보였습니다.
- 마지막으로 LogicKor는 논리적인 추론을 잘하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인데, 이 모델은 여기서도 높은 점수인 8.74점을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HyperCLOVA-X SEED Think 모델은 일반적인 한국어 사용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질문, 시험 문제, 논리적 사고 등 다양한 상황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인공지능입니다. 특히 한국어에 특화되어 있어, 한국 사용자에게 매우 적합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
HyperCLOVA X SEED 14B Think 모델은 기본적으로 상업적 사용이 가능한 오픈소스 모델입니다. 단, 일부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네이버의 별도 허가가 필요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다음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할 경우
- 서비스의 월간 활성 사용자(MAU) 수가 1,000만 명을 초과하는 경우
- 네이버가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경쟁하는 서비스를 개발·배포하는 경우
이 경우에는 네이버와 별도의 상업용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야 하며, 사전 승인을 받은 후에만 모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HyperCLOVA-X-SEED-14B-Think 모델은 굉장히 뛰어난 추론 성능을 보여주는 한국형 AI 추론모델입니다. 다양한 한국어 벤치마크에서 입증된 이 모델은 단순한 언어 이해를 넘어, 고차원적인 논리적 사고와 전문 분야에 대한 질문까지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수능, 의학, 문해력, 논리 추론 등 실생활과 밀접한 평가 항목에서 고루 우수한 성과를 기록하며, 한국어 기반 AI 모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모델이 교육, 의료, 행정, 고객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 실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모습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I 소식 > 오픈소스 AI 모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바바가 만든 초강력 오픈소스 AI 코딩 모델, Qwen3-Coder를 소개합니다. | 오픈소스 AI | 코딩 특화 모델 | (4) | 2025.08.01 |
---|---|
[오픈소스AI] NC소프트의 한국형 AI, VARCO‑VISION 2.0 모델을 소개합니다. (5) | 2025.07.30 |
카카오 AI, Kanana-1.5-v-3b: 이미지·텍스트 동시 이해하는 국산 모델 소개 (2) | 2025.07.25 |
코난테크놀로지의 한국형 AI, Konan-LLM-OND 로컬 실행기 | 한국형 AI | KLLM (2) | 2025.07.24 |
애플이 공개한 디퓨전 기반 LLM, DiffuCoder 모델 소개 및 사용법 (4) | 202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