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소식

개발자 필수 AI 도구, DeepWiki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자분들에게 반가운 소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 개발자라면 누구나 익숙한 플랫폼, 바로 깃허브(GitHub)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제 포스팅에서도 종종 코드 다운로드 경로로 소개했던 깃허브는, 전 세계 개발자들이 코드를 공유하고 협업하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잘 정리된 깃허브 저장소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내용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깃허브 저장소의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AI 도구, DeepWiki가 등장했습니다. 어떤 기능을 갖췄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DeepWiki 란

DeepWiki는 Cognition AI(Devin 개발팀)가 개발한 AI 기반 도구로, GitHub 저장소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위키 스타일의 문서로 변환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복잡한 코드베이스를 빠르게 이해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DeepWiki | AI documentation you can talk to, for every repo

DeepWiki provides up-to-date documentation you can talk to, for every repo in the world. Think Deep Research for GitHub - powered by Devin.

deepwiki.com

 

 

DeepWiki의 주요 기능

  1. 자동 문서 생성
    GitHub 저장소의 코드, README, 구성 파일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 프로젝트 개요 및 기능 설명
    • 기술 스택 및 의존성 목록
    • 파일 구조 및 모듈 설명
    • 인터랙티브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과 흐름도
  2. AI 기반 대화형 어시스턴트
    문서 내에서 자연어로 질문을 하면, 해당 저장소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맥락에 맞는 답변을 제공합니다.
    • "이 프로젝트의 아키텍처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 "이 코드를 실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이 함수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3. 심층 분석 기능
    경험 많은 개발자가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통찰력을 제공하는 "심층 연구(Deep Research)" 기능을 통해, 코드베이스의 설계 개념, 모범 사례, 최적화 기회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4. 인터랙티브 다이어그램
    코드 간의 관계, 아키텍처, 워크플로우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을 제공하여 복잡한 시스템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5. 공개 및 비공개 저장소 지원
    • 공개 저장소: 무료로 문서 생성 가능
    • 비공개 저장소: 유료 인증을 통해 지원, 기업 팀에 적합

 

 

구독 플랜

DeepWiki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공개 저장소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비공개 저장소(Private Repository)를 분석하거나 문서화하려면 반드시 유료 플랜을 이용해야 합니다. 비공개 저장소와 고급 기능을 활용하려면 최소한 Core 플랜 이상의 유료 구독이 요구됩니다.

항목 Core (유료 / 사용량 기반) Team ($500/월) Enterprise (맞춤 요금제)
비용 유료 – 최소 $20 충전, 사용량 기반 유료 – 월 $500 유료 – 별도 문의
공개 저장소 사용 가능 포함 포함
비공개 저장소 지원 지원 지원
기본 기능 Devin IDE, Search, Wiki, 자동 작업 Core 포함 Team 포함
추가 기능 - Devin API, 신기능 사전 접근 Enterprise 전용 기능, Custom Devins
동시 세션 수 최대 10개 무제한 무제한
사용자 수 무제한 무제한 무제한
지원 기능 협업, 온디맨드 충전 설정 전용 Slack 지원, 온보딩 콜 전담 계정 팀, 맞춤 계약, 사용 분석
보안 및 배포 - - VPC 배포, SSO, 중앙 관리, 팀 공간 분리

 

출처: DeepWiki 공식페이지

 

 

DeepWiki 사용 방법

  1. 깃허브 저장소의 URL 확인 : 문서화를 원하는 GitHub 저장소의 URL을 준비합니다.
  2. DeepWiki에 저장소 정보 제공 (아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 선택)
    • 방법 1: URL의 "github" 부분을 "deepwiki"로 변경 → 이메일 정보를 입력하고 생성 버튼 클릭
      (예시) https://github.com/user/repo  https://deepwiki.com/user/repo
    • 방법 2: DeepWiki 메인 페이지에서 "Add repo" 버튼 클릭 → 깃허브 저장소의 URL을 입력 후 전송 → 이메일 정보 입력 후 생성 버튼 클릭
  3. AI 문서 생성 확인 : 저장소 분석에는 약 2~10분 정도 소요됩니다. 문서가 생성되면, 입력한 이메일로 확인 메일이 발송되며, 해당 URL로 접속하여 AI 기반 문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DeepWiki 공식페이지 (방법2 과정)

 

이렇게 생성된 AI 문서는 단순히 읽는 것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문서 페이지에는 프롬프트 입력창이 함께 제공되어, 사용자가 직접 질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AI는 저장소 전체를 이미 분석한 상태이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고 구체적인 답변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문서 페이지에서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할 수 있어?"라고 질문하면, 관련 스크립트나 의존성 정보 등을 바탕으로 AI가 적절한 설치 방법을 알려줍니다. 이 기능은 복잡한 코드베이스를 단순히 '읽는 것'을 넘어,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확장시켜줍니다.

출처: DeepWiki 공식페이지

 

 

활용 방법

1. 프로젝트 구조 빠르게 파악

  • 오픈소스 프로젝트나 신규 코드베이스를 접할 때, 파일 구조, 주요 모듈, 기능 흐름 등을 자동으로 요약한 문서로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한 README나 주석 없이도 전반적인 프로젝트 개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온보딩 속도 향상

  • 새로 팀에 합류한 개발자가 빠르게 프로젝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문서화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 특히 스타트업이나 다수의 리포지터리를 관리하는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3. 오픈소스 기여 준비

  • 관심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아키텍처나 핵심 파일 흐름을 사전에 이해하여 기여 지점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이슈 해결, PR 작성 전에 DeepWiki 문서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4. 코드 리뷰/분석 참고용

  • PR 리뷰 전후에 DeepWiki를 통해 해당 저장소의 구조나 기능 맥락을 참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리뷰할 수 있습니다.

5. 기술 면접 준비

  • 기업이 운영하는 공개 저장소를 분석하여 기술 스택, 설계 방식, 코드 스타일 등을 이해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사전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면접 시 기술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6. 교육 및 학습 도구

  • 실무에 가까운 코드 구조를 학습하거나, 코드 리딩 훈련을 하는 데 적합한 도구입니다.
  • AI가 요약한 문서를 통해 주석 없는 코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DeepWiki는 단순한 코드 뷰어를 넘어, 복잡한 GitHub 저장소를 AI가 이해하기 쉬운 문서로 정리해주는 혁신적인 도구입니다. 개발자라면 누구나 겪는 ‘코드 파악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해결해주며, 온보딩, 오픈소스 기여, 기술 학습 등 다양한 상황에서 강력한 생산성을 발휘합니다.

 

공개 저장소는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니, 아직 사용해보지 않으셨다면 직접 경험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코드 이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