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으로 텍스트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텍스트-투-이미지' 모델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습니다. 수많은 모델이 경쟁하는 가운데, 최근 Lodestones가 공개한 'Chroma1' 시리즈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Chroma1은 변형된 FLUX.1-schnell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정교하고 사실적인 이미지를 안정적으로 생성하는 대규모 생성 모델입니다. 특히 연구, 창작, 상업적 활용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버전을 제공하여 폭넓은 확장성으로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hroma1 시리즈의 핵심 특징과 구체적인 활용 방안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Chroma1 모델이란
Chroma1은 AI 모델 개발사 Lodestones에서 공개한 차세대 텍스트-투-이미지(Text-to-Image) 생성 모델입니다. 약 89억 개(8.9B) 매개변수를 탑재한 대규모 모델로, 변형된 FLUX.1-schnell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히 텍스트 설명을 그림으로 옮기는 수준을 넘어, 보다 정교하고 사실적인 고품질 이미지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성능을 제공합니다.
- Lodestones 허깅페이스 : https://huggingface.co/lodestones/Chroma1-Radiance
lodestones/Chroma1-Radiance · Hugging Face
README.md exists but content is empty.
huggingface.co
[모델 버전]
- Chroma1-Base: 기본 모델. 8.9B 파라미터, 연구·개발·파인튜닝 출발점.
- Chroma1-Flash: 속도 특화. 경량·초고속 추론, 배포·API 환경에 최적.
- Chroma1-HD: 고품질 특화. 예술적·사진적 이미지, HQ 스타일 생성 강점.
- Chroma1-Radiance: 특화 버전. 장르·화풍 맞춤 파인튜닝, 실험적 스타일 지원.
현재 허깅페이스를 통해 Chroma1-HD, Chroma1-Flash 등 다양한 버전이 공개되어 있으며, 연구자와 개발자는 이를 활용해 맞춤형 스타일 학습이나 파인튜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Chroma1-Radiance 모델을 ComfyUI에서 활용하여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주요 특징
- 대규모 매개변수 기반의 고성능 : Chroma1 시리즈는 약 89억 개(8.9B) 파라미터를 갖춘 대규모 모델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텍스트 설명도 세밀하게 해석하여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변형된 FLUX.1-schnell 아키텍처 : 기본 구조는 FLUX.1-schnell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되, Lodestones의 독자적인 변형이 가해져 성능과 효율성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로써 사실적인 묘사부터 예술적 스타일까지 다양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 맞춤형 활용성 : Chroma1은 단순한 이미지 생성 모델에 그치지 않고, **파인튜닝(fine-tuning)**과 스타일 전환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습니다. 사용자는 자신만의 캐릭터, 특정 콘셉트, 혹은 원하는 화풍에 맞춘 맞춤형 모델을 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버전 라인업 : 기본형(Base), 고속 추론(Flash), 고품질(HD), 특화 파인튜닝(Radiance) 등 여러 버전이 제공되어 활용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연구 개발, API 배포, 예술적 창작 등 다양한 환경에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합니다.
라이선스
Chroma1 시리즈는 Apache 2.0 라이선스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이 라이선스는 오픈소스 라이선스 중에서도 사용 제약이 적은 편으로, 연구·개발 목적은 물론 상업적 활용도 자유롭게 허용합니다. 다만, 모델을 사용할 때는 저작권 및 라이선스 고지(Notice) 조항을 유지해야 하며, 모델 결과물을 상업 서비스에 통합하거나 배포하는 것 역시 가능합니다. 즉, 기업이나 개인 창작자 모두 Chroma1을 활용해 상업적 제품, 서비스, 콘텐츠 제작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사전준비사항
이 포스팅에서는 ComfyUI와 Chroma1-Radiance 모델을 사용하여 영상 생성 방법을 소개합니다. 본문을 따라 하기 전에 아래의 필수 항목들을 미리 설치해 주시기 바랍니다.
[Stabiliy Matrix&ComfyUI 설치하기] (포스팅에서 사용한 방식)
- ComfyUI 설치: [Marcus' Story] - [ComfyUI]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는 Stability Matrix 활용하기
- ComfyUI-Manager 설치: [Marcus' Story] - [ComfyUI] Stability Matrix에 ComfyUI-Manager 설치하기
[로컬에 직접 ComfyUI 설치하기]
- ComfyUI 설치: [Marcus' Story] - [ComfyUI] [로컬 환경] ComfyUI 로컬 환경에 설치 및 실행 방법
- ComfyUI-Manager 설치: [Marcus' Story] - [ComfyUI] [로컬 환경] ComfyUI 관리 도구, ComfyUI-Manager 설치하기
목차
1. 실행 환경
2. ComfyUI 사용 노드
3. Chroma1-Radiance 모델
- Workflow 다운로드
- 모델 다운로드
- 실행 (이미지 생성)
1. 실행 환경
- 운영체제 : Windows 11
- ComfyUI : 0.3.62
- ComfyUI-Manager : V3.30
- Python : 3.10.11
- torch : 2.8.0 + cu128
- GPU : NVIDIA GeForce RTX 4060 Ti (vram : 16GB)
2. ComfyUI 사용 노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별도로 다운로드해야 할 커스텀 노드 없이 진행됩니다. 하지만 ComfyUI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모델과의 호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성능 개선 및 버그 수정을 통해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Stability Matrix를 사용하는 경우 → Stability Matrix 화면에서 "Update" 버튼을 클릭하여 간편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ComfyUI를 로컬에 설치한 경우 → ComfyUI-Manager에서 "Update ComfyUI" 버튼을 눌러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3. Chroma1-Radiance 모델
Chroma1-Radiance 모델을 사용하여 로컬에서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ComfyUI Workflow
최신 ComfyUI에서는 웹 UI 내에서 워크플로우를 간편하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 ComfyUI를 실행
- 왼쪽탭에서 "Templates" 버튼 클릭
- "Flux" 항목에서 "Chroma1 Radiance text to image" 버튼 클릭
2) 모델 파일 다운로드
ComfyUI에서 워크플로우 파일을 불러오면, 해당 모델을 자동으로 탐색하며, 로컬에 모델이 없는 경우 다운로드 링크를 안내해줍니다. 이 링크를 통해 손쉽게 필요한 모델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모델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지정된 폴더 구조에 맞게 파일을 이동해 줍니다.
ComfyUI/
├───📂 models/
│ ├───📂 diffusion_models/
│ │ ├─── Chroma1-Radiance-v0.2.safetensors
│ ├───📂 text_encoders/
│ │ └─── t5xxl_fp16.safetensors
모든 모델 파일을 다운로드하셨다면, 위와 같은 폴더 구조에 맞춰 각 파일을 옮겨줍니다. 만약 StabilityMatrix를 통해 ComfyUI를 실행 중이라면, [StabilityMatrix → Data → Packages] 경로 내부에서 ComfyUI 폴더 위치를 먼저 확인한 후, 동일하게 위 폴더 구조로 파일을 배치하시면 됩니다.
3) 실행 (이미지 생성)
Chroma1-Radiance 모델에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약 5분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사용된 Vram은 약 15.5 GB 사용하였습니다.
텍스트 프롬프트를 작성할 때는 구체적이고 맥락 있는 프롬프트가 좋은 결과를 이끌어내는 데 유리합니다. 아래는 실제 사용한 프롬프트와 생성된 결과입니다.
[입력 프롬프트]
Hyperrealistic macro photograph of a team of tiny bakers—each precisely 2 inches tall—collaborating on an enormous, golden-brown croissant with flaky, layered textures. The bakers are engaged in dynamic, detailed actions: one uses a miniature wooden bucket to spread rich, creamy butter between the croissant’s layers, another climbs a thin rope ladder to evenly pipe smooth, glossy chocolate filling onto the top, and a third brushes a light egg wash with a tiny pastry brush. The scene is bathed in warm, soft kitchen lighting with cinematic depth—subtle highlights on the croissant’s golden crust, gentle shadows that emphasize texture, and a soft glow from overhead pendant lights. Floating flour dust particles catch the light, adding a sense of movement and realism, while tiny details like the bakers’ stitched cloth aprons, smudged flour on their faces, the rough wood of the worktable, and the slight sheen of melted butter on the croissant are rendered with ultra-precision. Ultra-detailed, 8K resolution, photorealistic textures, sharp focus on the bakers and croissant, shallow depth of field to blur the background slightly, rich warm color palette, lifelike proportions, and a cozy, whimsical atmosphere that balances realism with charm.
[생성 결과]
Chroma1-Radiance 모델은 약 5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높은 해상도와 사실적인 디테일을 갖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카메라 원근감과 같은 세밀한 요소까지 조절이 가능해, 단순히 그림을 만들어내는 수준을 넘어 사진에 가까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예술적 작업, 디자인 시뮬레이션, 콘셉트 아트 제작 등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무엇보다 로컬 환경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고도 개인 PC에서 안정적으로 실험과 창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구자와 창작자 모두에게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활용 범위는 더욱 확장될 것으로 보이며, 직접 사용해 본다면 Chroma1 시리즈의 강력한 잠재력을 체감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ComfyUI > 이미지 생성 및 수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이미지 편집] Qwen-Image + ControlNet 활용 가이드|ComfyUI로 쉽게 따라하기 (2) | 2025.09.08 |
---|---|
[ComfyUI + Qwen-Image-Edit] AI 이미지 편집 가이드|빠르고 간편한 활용 방법 (6) | 2025.08.25 |
[ComfyUI + Qwen-Image] 로컬 환경 고품질 이미지 생성 가이드 | 오픈소스 AI 활용 | (4) | 2025.08.11 |
포토샵처럼 이미지 수정하는 AI, OmniGen2를 소개합니다. | ComfyUI | 오픈소스 | 로컬환경 (2) | 2025.07.10 |
[ComfyUI + ICEdit] GPT-4o보다 빠르게 이미지 편집하기 | 이미지 수정 AI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