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느새 긴 겨울이 지나고, 봄기운이 완연하게 퍼졌습니다. 거리에는 벌써 반팔 차림의 사람들이 하나둘 눈에 띄고, 따뜻한 바람 속에서 여름의 기운마저 서서히 느껴지는 요즘입니다.
올해 초, 다양한 AI들이 연이어 등장하며 뜨거운 관심을 모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받았던 Grok-3가 출시된 지 어느덧 몇 주가 지났습니다. 이제 시간이 조금 흐른 지금, 과연 Grok-3가 여전히 ‘최고의 AI’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오늘은 그 평가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다른 AI들과 비교해 현재 어떤 위치에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다양한 AI 모델이 출시되고 있는 만큼, 어떤 기준으로 비교하느냐에 따라 그 순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신 AI 모델들을 보다 공정하고 실용적인 관점에서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활용할 플랫폼은 LMArena입니다. LMArena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성능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한 오픈 플랫폼으로, 사용자 참여 기반의 블라인드 테스트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집해 보다 객관적이고 실용적인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이 플랫폼의 강점입니다.
- Chatbot Arena 허깅페이스 : https://huggingface.co/spaces/lmarena-ai/chatbot-arena-leaderboard
Chatbot Arena Leaderboard - a Hugging Face Space by lmarena-ai
huggingface.co
AI 모델 선택 가이드
목적 | 추천모델 |
최고의 성능이 필요한 경우 | Grok-3 / GPT-4.5 |
추론 성능이 뛰어난 모델 | Gemini 2.0-Flash-thinking |
가성비를 중시하는 경우 | Gemini 2.0 Flash / Gemma-3 27B |
무료로 강력한 AI 사용 | DeepSeek-R1 / Gemma-3 27B |
웹 개발 및 코딩 작업에 특화 | Claude 3.7 Sonnet / Claude 3.5 Sonnet |
Language (언어 모델 평가)
Chatbot Arena에서 주로 진행되는 LLM평가 카테고리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Chatbot Arena의 LLM 성능 비교 테이블로, 여러 AI 모델의 전반적인 성능 및 특정 과제별 순위를 보여줍니다.
- 2025년 3월 20일 기준, 총 218개 모델이 평가되었으며, 2,801,990건의 투표 진행
- GPT-4.5, Claude 3.7, Gemini-2.0, Grok-3 등 최신 언어 모델 포함
[전반적인 모델 성적]
전반적인 성능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낸 모델은 "Grok-3"와 "GPT-4.5"입니다. 두 모델 모두 사실상 공동 1위를 기록하며, 어려운 질문 처리, 코딩, 수학, 창의적 글쓰기, 명령 수행, 긴 질의 처리, 멀티턴 대화 등 거의 모든 항목에서 고르게 최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실사용 환경에서도 가장 강력한 LLM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 뒤를 이어 구글의 "Gemini-2.0" 시리즈 (gemini-2.0-flash-thinking-exp-01-21, gemini-2.0-pro-exp-02-05)가 상위권에 포진했습니다. 특히 하드 프롬프트, 코딩, 수학에서 강점을 보였고, gemini-2.0-pro는 스타일 컨트롤 항목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GPT-4o (chatgpt-4o-latest-20250219)도 전반 순위 5위를 기록하며 여전히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창의적 글쓰기와 멀티턴 대화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O1-2024-12-17도 6위로 주요 모델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습니다.
반면, 최근 공개된 Claude-3.7 (claude-3-7-sonnet-20250219-thinking-32k)은 전반 순위 14위를 기록하며 다소 낮은 평가를 받았지만, 수학과 하드 프롬프트 처리 능력에서는 상위권 성능을 보였습니다.
[추론 모델 성적]
추론에 특화된 모델 중에서는 구글의 "gemini-2.0-flash-thinking-exp-01-21" 모델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복잡한 문제를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능력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DeepSeek-r1, OpenAI의 O1-2024-12-17, 그리고 경량화 모델인 O3-mini-high 등이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특히 DeepSeek-r1은 오픈소스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추론 성능을 기록해 눈길을 끌고 있으며, OpenAI의 O1과 O3 시리즈도 강력한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픈 소스 모델]
이번 평가에서 주목할 점은 DeepSeek-r1, Gemma-3-27b-it, DeepSeek-v3, QWQ-32b 등 오픈소스 모델들의 약진입니다.
DeepSeek-r1은 전반 6위로, 무료로 사용 가능한 오픈소스 모델임에도 뛰어난 성능을 입증했습니다.
Gemma-3-27b-it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SLM(Small Language Model)임에도 불구하고 주요 항목에서 상위권 모델들과 견줄 만큼의 성능을 보여주며, 경량 모델의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DeepSeek-v3, QWQ-32b 역시 12~13위에 이름을 올리며 오픈소스 LLM의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Price Analysis (가격 분석)
아래 이미지는 Chatbot Arena의 비용 대비 성능 분석 그래프로, 각 AI 모델의 성능(Arena Score)과 비용($/M Tokens)을 비교한 데이터입니다.
전반적인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가장 최적의 모델로 평가받은 AI는 구글의 "Gemini 2.0 Flash"입니다. 이 모델은 약 1360점의 높은 Arena Score를 기록하면서도 비용(약 0.4달러/100만 토큰)이 저렴해, 뛰어난 비용 대비 성능을 자랑합니다. 성능과 실용성 측면 모두에서 균형 잡힌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함께 주목할 만한 모델로는 구글의 "Gemma-3 27B"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SLM(Small Language Model)임에도 불구하고 1340점 이상의 Arena Score를 기록하며, 경량화된 모델 중에서는 최상급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용 또한 매우 낮아, 가벼운 환경에서도 고성능 AI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최적의 선택지로 평가됩니다.
반면, GPT-4.5는 전반적인 성능에서는 압도적인 최상위를 기록했지만,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는 다소 아쉬운 편입니다. 뛰어난 성능만큼이나 높은 비용이 부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DeepSeek-R1은 무료로 제공되는 오픈소스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기록하며, 비용 부담 없이도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편, Claude 3.7은 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고, 비용 대비 성능 면에서는 경쟁 모델들보다 다소 부족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WebDev Arena (웹 개발 AI 배틀)
아래 이미지는 Chatbot Arena의 웹 개발 특화 AI 모델 성능 비교 테이블로, 여러 AI 모델의 코딩 보조 및 웹 개발 작업 수행 능력을 평가한 순위를 보여줍니다.
이번 평가에서도 Claude 시리즈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Claude 3.7 Sonnet (20250219) 모델은 Arena Score 1354.74점으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난 평가에서도 웹 개발 및 코딩 분야에서 강력한 성능을 보였던 Claude 3.7은, 몇 주가 지난 지금도 여전히 전체 순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뒤를 이어 Claude 3.5 Sonnet (20241022) 모델도 1245.63점으로 2위를 차지하며 Anthropic의 모델들이 상위권을 독점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전반적인 분야에서는 다소 아쉬운 평가를 받는 경우도 있었지만, 특히 코딩 관련 작업에서 Claude 시리즈의 강점이 더욱 돋보이는 결과입니다.
3위에는 DeepSeek-R1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오픈소스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1204.14점의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성능과 접근성 모두에서 주목할 만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xAI의 Grok-3, OpenAI의 O3-mini-high와 O1 시리즈, Google의 Gemini-2.0 시리즈 등이 4위~10위권에 포진하며, 주요 기업들의 최신 LLM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AI 모델 비교를 통해 각 모델의 특징과 강점을 간략히 정리해보았습니다.
최고의 성능을 원한다면 GPT-4.5와 Grok-3, 추론 성능에서는 Gemini-2.0 Flash-Thinking, 가성비를 중시한다면 Gemini-2.0 Flash와 Gemma-3 27B, 무료로 강력한 AI를 원한다면 DeepSeek-R1, 코딩과 웹 개발에 특화된 모델로는 Claude 3.7 Sonnet이 가장 적합한 선택지로 평가됩니다.
무엇보다 이번 평가에서 주목할 점은 DeepSeek-R1, Gemma-3 27B, DeepSeek-V3, QWQ-32b 등 오픈소스 모델들의 눈에 띄는 성장입니다. 과거에는 유료 모델들이 상위권을 독점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오픈소스 모델들 역시 전반적인 성능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DeepSeek와 Gemma 시리즈는 성능은 물론, 접근성과 비용 면에서도 사용자들에게 큰 강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오픈소스 LLM의 발전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며, 고성능 AI 모델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하고 효율적인 선택지가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
[오픈 소스 활용하기]
- QWQ-32b 모델 오픈 소스 활용하기 : [Marcus' Story] - [오픈 소스 AI] Deepseek와 동급의 무료 고성능 추론 모델, QwQ를 소개합니다.
- Gemma-3 모델 오픈 소스 활용하기 : [Marcus' Story] - 구글의 온디바이스 모델 Gemma3를 소개합니다.
'AI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장의 이미지로 3D 시점을 구현하는 AI, Stable Virtual Camera를 소개합니다. (0) | 2025.03.31 |
---|---|
한 번의 프롬프트로 업무 끝! 완전 자동화 AI, Manus AI 등장 (1) | 2025.03.20 |
최신 언어 모델 및 이미지 생성 모델 정리 (2024년 최신 리스트) (0) | 2025.03.10 |
ChatGPT-4.5, Claude 3.7, Grok-3, Gemini-2.0 성능 비교: 가장 똑똑한 AI는? (1) | 2025.03.04 |
2025년 OpenAI에서 새롭게 추가된 GPT 기능 (o3 추론모델 / 일정 예약 기능)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