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 AI 분야에서 또 한 번 눈길을 사로잡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중국에서 개발된 Manus AI가 등장하며, 많은 사람들이 상상하던 완전 자동화 AI 에이전트의 모습을 현실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대화형 AI를 넘어, 사용자의 지시 없이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Manus AI는 출시 전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아직 정식 서비스가 오픈되지는 않았지만, 이 AI가 왜 주목받고 있는지, 어떤 점에서 기존 AI와 다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Manus AI의 주요 특징과 기능을 정리해보았습니다.
Manus AI 란
Manus AI는 중국 스타트업에서 개발한 자율형 인공지능 에이전트로, 2025년 3월 공식 출시되었습니다. 'Manus'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손'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생각과 목표를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의 AI 비서나 챗봇과는 달리, Manus AI는 인간의 개입 없이 복잡한 작업을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완전 자동화 AI 에이전트'입니다. 사용자가 단 하나의 명령(프롬프트)만 입력하면, AI가 알아서 작업을 쪼개고 필요한 단계를 거쳐 결과를 완성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습니다.
- Manus AI 공식페이지 : https://manus.im/
Manus
Manus is a general AI agent that turns your thoughts into actions. It excels at various tasks in work and life, getting everything done while you rest.
manus.im
Manus AI vs 기존 AI 모델 (ChatGPT 등)
Manus AI와 대표적인 대화형 AI인 ChatGPT는 작동 방식과 구조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1) Manus AI
Manus AI는 사용자가 목표만 제시하면, AI가 스스로 작업 계획 → 실행 → 결과 검증까지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복잡한 작업도 여러 단계를 거쳐 순차적으로 처리하며, 작업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AI 모델을 조합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합니다. 실제로 Manus AI는 Qwen, Claude Sonnet 3.5, GPT-4, Claude 3, Gemini 등 여러 고급 모델을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호출하는 다중 모델 시스템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2) 기존 AI 모델 (ChatGPT 등)
반면, 기존 AI 모델은 주로 대화형 AI로, 사용자의 질문에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대형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간단한 정보 제공, 일상 대화, 학습 보조 등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ChatGPT와 같은 모델은 단일 모델에 의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모델 구조 및 성능 비교
1) 모델 구조
Manus AI의 가장 큰 특징은 ‘다중 모델 동적 호출(Multi-Model Dynamic Orchestration)’ 구조입니다. 이는 기존 AI 시스템처럼 단일 모델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의 성격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고급 AI 모델을 유연하게 조합해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덕분에 보다 정확하고 강력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Manus AI는 내부적으로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에이전트 역할 | 모델 기반 | 주요 기능 |
계획 에이전트 (Planner Agent) | Post-trained 된 Qwen 모델 | 작업 목표를 세분화하고, 전체 프로세스를 설계 |
실행 에이전트 (Executor Agent) | Claude Sonnet 3.5 모델 | 도구 호출, 코드 작성, 실제 작업 실행 수행 |
검증 에이전트 (Verifier Agent) | - | 작업 결과 검토 및 반복 최적화로 품질 보장 |
또한 특정 상황에 따라 적합한 모델을 선택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특정 상황 | 선택 모델 |
논리적 추론 필요 시 | Claude 3 |
프로그래밍 수행 시 | GPT-4 |
지식 종합 필요 시 | Gemini |
이처럼 Manus AI는 다양한 모델을 목적에 맞게 조합해 활용합니다. 사용자는 단 하나의 명령어만 입력하면, AI가 스스로 가장 적합한 모델을 선택해 복잡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새로운 모델이 추가되어, 더 다양한 작업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습니다.
2) 성능 비교
Manus AI의 구조적 강점은 실제 성능 지표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Manus AI는 Meta AI, Hugging Face, AutoGPT 팀이 개발한 GAIA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가장 최신 성능을 기록하며, OpenAI의 GPT-4와 Microsoft의 AI 시스템을 뛰어넘는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GAIA 벤치마크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난이도 레벨에서 Manus AI가 기존 최고 성능(State-of-the-Art, SOTA) 모델과 OpenAI Deep Research 모델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 Level 1 테스트에서 Manus AI는 86.5% 임무 완수율을 기록, OpenAI Deep Research의 74.3%, 기존 SOTA 모델의 67.9%보다 높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 Level 2에서도 Manus AI는 70.1%로, OpenAI Deep Research(69.1%), 기존 모델(67.4%)을 모두 앞섰습니다.
- 가장 난이도가 높은 Level 3에서는 Manus AI가 57.7%로, OpenAI Deep Research(47.6%) 및 기존 모델(42.3%)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Manus AI는 복잡하고 고난도의 작업에서도 높은 이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합니다. 단일 모델에 의존하는 기존 AI 시스템과 달리, 다중 모델을 유기적으로 조합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는 Manus AI의 구조적 강점이 성능 면에서도 확실히 입증된 것입니다.
주요 기능과 특징
Manus AI의 가장 큰 강점은 자율성과 다양한 작업 처리 능력에 있습니다. 사용자는 단 한 번의 명령어 입력만으로 복잡한 업무를 맡길 수 있으며, AI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한 뒤 결과를 검증해 제공합니다.
- 자율적 업무 수행
- 사용자의 지시 없이 스스로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합니다.
- 예를 들어, 여행 일정 생성, 심층 데이터 분석, 리서치 등 복잡한 프로세스를 독립적으로 완수할 수 있습니다.
- 고수준 워크플로우 자동화
-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사용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합니다.
- 다중 모달 데이터 처리
- 텍스트, 이미지, 코드, 구조화된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습니다.
- PPT 파일, JSON, Python 코드, 심지어 모바일 앱 형태의 파일까지 출력 가능합니다.
-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 계획, 실행, 검증 역할을 수행하는 독립된 AI 에이전트들이 협력해 효율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합니다.
- 고급 도구 통합
- 웹 브라우저, 코드 편집기, 데이터베이스 등 외부 응용 프로그램과 연동해 실시간 정보 검색, 데이터 처리, 코드 배포가 가능합니다.
- 클라우드 기반 비동기 처리
-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이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완료 후 결과를 제공합니다.
- 적응형 학습 및 개인화
-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학습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개인화된 결과를 제공합니다.
자동화 가능한 작업 (예시)
- 비즈니스 및 사무 자동화
- 보고서 작성 및 데이터 분석: 필요한 데이터 수집, 분석 후 보고서 생성
- 이력서 심사 자동화: 지원자 평가 자동화, 채용 업무 효율화
- 이메일 작성 및 일정 관리: 이메일 작성, 스케줄링 자동 처리
- 스프레드시트 및 표 생성: 데이터 정리 및 표, 시각화 문서 자동 생성
- 금융 및 투자 분석
- 주식 및 시장 데이터 분석: 실시간 시장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제공
- 투자 리포트 작성: 종목 분석 및 투자 보고서 자동 생성
- 거래 패턴 분석 및 사기 탐지: 이상 거래 감지 및 거래 패턴 분석
- 부동산 및 정보 검색
- 부동산 정보 검색 및 추천: 예산, 지역 조건에 맞는 부동산 정보 제공
- 학군 및 거주지 안전성 분석: 지역 기반 데이터로 거주지 추천
- 콘텐츠 생성 및 마케팅
- 콘텐츠 자동 생성: 블로그, 소셜미디어, 마케팅 자료 자동 작성
- 마케팅 캠페인 계획: 타겟 조사, 콘텐츠 제작, 일정/예산 관리 자동화
- 웹사이트 최적화: SEO 분석, 사이트 성능 개선 자동 처리
- 코딩 및 개발 자동화
- 코드 및 프로그램 생성: 원하는 기능의 코드 자동 작성
- 웹사이트 제작 및 배포: 웹사이트 코딩 및 배포 자동화
- 소프트웨어 개발 자동화: 코드 작성, 테스트, 배포 프로세스 자동화
- 데이터 처리 및 분석
- 데이터 수집 및 스크래핑: 웹 정보 자동 수집 및 정리
- 데이터 시각화: 수집 데이터 차트, 그래프로 자동 변환
- 경쟁사 가격 추적: 경쟁사 가격 정보 수집 및 분석
실제 활용 사례
Manus의 자율적 작업 수행 능력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기능은 수작업 부담을 줄이고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주식 종목 분석
- Microsoft 주식 분석 요청.
- AI가 스스로 체크리스트 작성 → 여러 웹사이트 심층 리서치 → 필요한 경우 사이트에서 자동으로 폼 작성.
- 캡차 발생 시 수동 입력 요청.
- 오래 걸리는 경우도 있으나 깊이 있는 리서치 결과 제공. (투자 추천, 리스크, 기회 요소 등)
- AI 툴 리서치 & 순위 매기기
- "비즈니스용 AI 툴 TOP 50" 요청 → 각 툴에 1~100점 스코어 부여 + 이유 설명.
- 카테고리별 (마케팅, HR, 고객지원 등) 툴 정리 → 결과 PDF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
- 인터랙티브 코스 제작
- 일반적인 블로그 형태가 아닌 인터랙티브 웹사이트 형식의 강의 코스 자동 생성.
- 클릭 가능한 요소들로 구성되어 학습 효과 극대화.
- 프롬프트 한 줄로 사이트 완성 → 배포 가능.
-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 : 엑셀 스프레드시트(매출 데이터 등)
- 그래프, 히트맵, 주요 인사이트, 아웃라이어 탐색 자동 생성.
- 전략적 추천 사항도 포함.
- 프레젠테이션에 바로 사용할 수 있음.
- B2B 리드 발굴
- 특정 조건의 미국 내 B2B 고객사 리스트 자동 생성.
- 회사 수, 투자 단계, 회사 정보까지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
- 직접 사이트 링크까지 포함되어 바로 활용 가능.
- SEO 감사 리포트
- 웹사이트 SEO 분석 → 문제점, 개선사항, 백링크, 컨텐츠 분석 모두 포함.
- robots.txt, sitemap, schema 누락 등 주요 SEO 이슈도 자동 탐지.
- 결과물 실행 가능한 액션 플랜 형태로 제공.
지금까지 살펴본 Manus AI는 단순한 대화형 AI를 넘어, 사용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복잡한 업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완전 자동화 AI 에이전트라는 점에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고급 AI 모델을 유기적으로 조합해, 단 하나의 프롬프트만으로도 고도화된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은 기존 AI 서비스와 확연히 다른 차별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AI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단순 반복 작업에서 벗어날 뿐 아니라, 데이터 분석, 콘텐츠 제작, 마케팅,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주도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생산성 향상과 시간 절약, 더 나아가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입니다.
Manus AI와 같은 자동화 AI 에이전트는, 적절히 활용한다면 우리의 업무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강력한 파트너가 될 것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AI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장의 이미지로 3D 시점을 구현하는 AI, Stable Virtual Camera를 소개합니다. (0) | 2025.03.31 |
---|---|
Grok-3 등장 몇 주 후, AI 시장의 흐름은? 주요 모델 한눈에 비교 (0) | 2025.03.24 |
최신 언어 모델 및 이미지 생성 모델 정리 (2024년 최신 리스트) (0) | 2025.03.10 |
ChatGPT-4.5, Claude 3.7, Grok-3, Gemini-2.0 성능 비교: 가장 똑똑한 AI는? (1) | 2025.03.04 |
2025년 OpenAI에서 새롭게 추가된 GPT 기능 (o3 추론모델 / 일정 예약 기능)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