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 몇 년 사이, 개발자의 업무 방식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자동 완성 기능을 넘어, 이제는 AI가 코드 작성부터 수정, 문서화, 협업 지원까지 맡아주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그 중심에는 OpenAI의 Codex가 있습니다.
Codex는 기존의 생성형 AI와는 차원이 다른 코딩 특화 AI 에이전트로, 깃허브와 연동해 프로젝트 전체를 이해하고 실질적인 개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단순한 보조 도구를 넘어, 진짜 개발 파트너처럼 함께 일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odex가 제공해주는 기능과 실제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penAI Codex란
Codex는 OpenAI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코딩 에이전트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전용 AI입니다. 자연어(예: 영어)로 작성된 명령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코드로 자동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버그 수정, 코드 리뷰, 리팩터링, 테스트와 같은 반복적이고 복잡한 개발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피드백에 따라 코드 조각을 수정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며,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에 최적화된 OpenAI의 o3 버전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 Codex 소개페이지 : https://openai.com/index/introducing-codex/
핵심 특징
- 자연어 기반 코드 생성 및 수정 : Codex는 영어 등 자연어로 작성된 명령을 이해하여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코드를 자동 생성하거나, 기존 코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개발 지시도 간단한 문장으로 전달 가능해,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깃허브 저장소 통합 : Codex는 깃허브 저장소와 직접 연동되어 실제 코드베이스를 분석하고 작업을 수행합니다. 기능 추가, 버그 수정, 테스트 작성, Pull Request 생성까지 자동화되며, 사용자는 자연어로 지시만 내리면 됩니다.
- 자동화된 테스트 및 검증 : 테스트 하니스, 린터, 타입 체커 등을 자동 실행하여 코드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검증합니다. 결과는 로그와 함께 제공되어, 변경 사항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코드베이스에 대한 질의응답 지원 : 프로젝트 내 코드에 대해 질문하면 Codex가 직접 분석하여 설명을 제공합니다. 코드 구조나 동작 원리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유지보수나 신규 개발 시 매우 유용합니다.
- 다중 작업 병렬 처리 : Codex는 여러 개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각 작업은 격리된 클라우드 샌드박스 환경에서 병렬로 처리되어, 대규모 개발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요금제
현재 OpenAI Codex 기능은 유료 요금제(Plus, Pro) 사용자에게 제공됩니다.
- Plus 요금제 ($20/월) : Codex CLI 사용 및 일부 테스트 기능 제공
- Pro 요금제 ($200/월) : Codex 에이전트 리서치 프리뷰 기능 제공
Codex 시작하기 (깃허브 연동)
현재 Codex는 깃허브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Codex CLI를 설치해 로컬 환경에서 직접 활용하는 방식 두 가지로 제공됩니다. 깃허브 연동 방식은 실제 저장소를 기반으로 협업 및 자동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Codex CLI는 터미널에서 직접 코드 생성·수정 등 다양한 개발 업무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깃허브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 Codex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odex를 깃허브과 연동해 사용하려면, 아래 두 가지 방법을 통해 Codex에 접속합니다.
[Codex 접속]
1) 공식 Codex 페이지 접속
아래 링크를 통해 Codex 온보딩 페이지로 이동하여 사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Codex 온보딩 페이지 : https://chatgpt.com/codex/onboarding
2) ChatGPT에서 Codex 직접 실행
ChatGPT 웹사이트(chatgpt.com)에 로그인한 후, 왼쪽 사이드바 하단에서 Codex 메뉴를 클릭하면 Codex 환경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 Plus 또는 Pro 요금제 사용자가 Codex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깃허브 연동]
"Codex 온보딩 페이지"에서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깃허브 계정을 연결하기 위한 화면이 나타납니다(아래 첫 번째 이미지). "GitHub으로 계속" 버튼을 클릭하면 깃허브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하며, ChatGPT는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허용한 범위 내에서만 접근합니다.
이후 연동할 조직을 선택합니다. 개인 계정만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항목만 표시됩니다(아래 두 번째 이미지). 조직을 선택하면 깃허브의 권한 설정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아래 세 번째 이미지).
이 단계에서 Codex가 접근할 리포지토리를 지정합니다. "Only select repositories" 옵션을 선택하면 특정 리포지토리만 선택할 수 있고, "All repositories"를 선택하면 전체 리포지토리에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한 후 "Install & Authorize" 버튼을 클릭하면 깃허브 연동이 완료됩니다.
연동이 완료되면 연결할 저장소를 선택한 뒤(아래 이미지), Codex 작업의 이름과 간단한 설명을 입력하고 "환경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Codex 실행 환경을 생성합니다.
(※ 여기서 말하는 "환경 만들기"는 Codex 전용의 개발 작업 공간을 구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깃허브 저장소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Codex가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입니다.)
Codex 주요 기능
Codex는 연동된 깃허브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다양한 개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AI 도구입니다. 환경이 생성되면, 프롬프트를 통해 Codex에게 직접 작업을 지시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기능]
- 코드 점검: 깃허브 에 업로드된 코드의 구조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합니다.
- 학습 가이드 생성: 프로젝트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를 위해 이해하기 쉬운 가이드를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 오탈자 및 버그 감지: 코드 내 문법 오류, 잘못된 로직 등을 자동으로 탐지하여 알려줍니다.
- 코드 수정 및 생성: 프롬프트에 따라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거나 기존 코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Pull 요청 생성: 수정된 내용을 바로 깃허브에 PR로 제출할 수 있어 협업도 원활합니다.
이번 테스트에서는 이전에 작성한 "PDF 파일 데이터를 처리하는 MCP 서버" 코드를 활용하여 몇 가지 기능들을 직접 실험해보았습니다.
1) 코드 점검, 수정 및 생성
Codex는 현재 연동된 깃허브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실제 코드와 파일 구조를 이해한 상태에서 명령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입력창에 명령을 입력하면 "질문하기"와 "코딩"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이러한 구분으로 사용자는 Codex와 보다 정확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Codex는 프로젝트 맥락을 바탕으로 코드 이해, 기능 확장, 문서 생성 등의 작업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질문하기" 버튼: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 의도 파악, 파일 구조 안내 등 정보성 질문을 할 때 사용합니다. 예: “이 함수는 어떤 역할인가요?”, “이 프로젝트의 메인 로직은 무엇인가요?”
- "코딩" 버튼: 코드 추가, 수정, 삭제 등 실제 코드 작업을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예: “로그인 기능 추가해줘”, “에러 핸들링 로직 보완해줘”
2) 학습 가이드 생성
Codex는 연동된 프로젝트의 전체 구조와 핵심 코드를 분석하여, 초보 개발자나 새로운 팀원이 프로젝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 가이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입력창에 예를 들어 “이 프로젝트에 대한 학습 가이드를 만들어줘” 또는 “초보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구조 설명해줘”와 같은 요청을 입력하면, Codex는 해당 프로젝트를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분석하여 작성해줍니다.
3) Pull 요청 생성
Codex는 코드 수정이나 기능 추가 작업을 완료한 후, 해당 변경 내용을 깃허브 저장소에 반영할 수 있도록 Pull 요청(Pull Request, PR) 을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이는 개발 협업 과정에서 코드 변경 사항을 팀원들과 공유하고, 검토 및 승인 절차를 거치는 표준적인 워크플로우입니다.
Codex의 Pull 요청 기능은 단순한 코드 수정을 넘어, 실제 협업 단계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별도의 명령어나 수동 작업 없이, 버튼 클릭만으로 PR을 생성하고 깃허브에 반영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입니다.
이번 테스트를 통해 Codex가 단순한 생성형 AI를 넘어, 실제 개발을 지원하는 코딩 에이전트라는 점을 분명히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기존 모델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파일을 업로드하고, 명확한 맥락을 일일이 제공해야 했지만, Codex는 깃허브 연동을 통해 프로젝트 전체에 직접 접근하고, 문맥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필요한 작업을 스스로 수행합니다. 그리고 단순한 코드 수정에 그치지 않고, 관련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하고, README 문서까지 상황에 맞게 업데이트하는 등 진정한 AI 개발 파트너다운 면모를 보여주었습니다.
앞으로 Codex와 같은 AI 에이전트의 기능과 역할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바이브 코딩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만큼, AI 에이전트의 활용도 역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AI 소식 > 유용한 AI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ng Video Creator] 마이크로소프트 AI 영상 만들기 가이드 (Sora 기반) (1) | 2025.06.17 |
---|---|
모바일에서 직접 실행하는 생성형 AI, Google AI Edge Gallery를 소개합니다. (5) | 2025.06.09 |
Anthropic의 Claude 4 출시, 이전 모델과 얼마나 달라졌나? (1) | 2025.06.02 |
Google Flow 사용법: 구글 AI 영상 생성 도구로 영상 만들기 (0) | 2025.05.29 |
빠르고 정확한 AI 검색, oo.ai를 소개합니다. (0) | 2025.05.28 |